UX·UI - FrontEnd Dev. Story

git 3

[Git] 늘 멘붕터지는 push 완료한 commit 되돌리기 - reset 사용

작업을 하다보면 push한 commit을 되돌려야하는 상황이 온다.그럴때마다 매번 어떻게 했는지 기억이 안나서 빡쳐서 메모해두기로..    Reset 사용하여 깃 커밋 되돌리기!!! 1. commit 리스트 확인우선 commit 리스트 확인은git log     2. commit 취소하기가장 최근 커밋(commit)한것을 취소하고 싶을땐git reset HEAD^  여러개의 커밋을 취소하고 싶을땐?git reset HEAD~n * n에는 개수만큼 입력하면 된다.2개 = git reset HEAD~23개 = git reset HEAD~3  reset 옵션명령설명--soft HEAD^- 커밋취소- 커밋 취소된 파일 스테이징에 복구- 파일 수정사항 유지--mixed HEAD^(기본옵션)최근 커밋 & 스테이징을..

터미널 Git으로 GitHub 사용하는 방법 A부터 Z까지(깃, 깃허브)

Git으로 GitHub에 버전관리를 하려고 할때마다 매번 헷갈렸다.. clone이 어쩌고 add가 어떻고, branch가 머시기고... 그럴때마다 검색하면 push에 대한 설명이라던지 commit 사용법이라는지 그런것만 있지 어떤 순서로 어떻게 하라는건지 제대로 된 설명이 없었다. 그래서 이 참에 그냥 내가 정리를해서 포스팅을 했다. 포스팅하고보니 이제 여기만 들어오게 된다..ㅋㅋㅋ 다른 깃 초보자들에게도 이 포스팅이 도움 되길 바라며.. [바로가기 버튼] 1. Git 초기화 설정으로 Git 버전관리하기 2. GitHub에서 저장소 만들어서 프로젝트 Git 이랑 연결하기 3. 작업한 프로젝트들을 버전으로 gitHub에 올리는 방법 4. 브랜치 만들기 5. 깃 저장소(Git Hub)에 업로드 6. 깃과 깃..

git 깃 자주쓰이는 명령어 정리

1. 기본 명령어 명령어 설명 git init 저장소(git) 생성 git status 변경 사항 체크 git add * 모든 파일을 staged 상태로 만든다. git add . .gitignore에 있는 파일은 제외하고 staged에 올린다. git add {파일명} 파일명 해당하는 파일을 staged에 올린다. cd directory change directory 디렉토리를 변경한다는 의미 git clone {url} {저장할 폴더명} 폴더명을 입력하면 현재위치에 폴더를 만들면서 클론 git clean 추적 중이지 않는 파일만 지우는 기본 동작 git clean - f 디렉터리를 제외한 파일들만 삭제 git clean -f -d 디렉터리까지 삭제 git clean -f -d -x ignored된 파..

반응형